컨텐츠 바로가기


저소득층 기저귀‧조제분유 지원

  1. 보건사업
  2. 모자보건
  3. 저소득층 기저귀‧조제분유 지원

저소득층 기저귀·조제분유 지원

지원대상

  • 기저귀
    • 2세 미만의 영아를 둔 기준중위소득 80% 이하의 다자녀(2인 이상) 가구
    • 2세 미만의 영아를 둔 기초생활보장수급자, 차상위계층, 한부모가족 수급 가구
    • 2세 미만의 영아를 둔 기준중위소득 80% 이하의 장애인 가구
    • 쌍둥이·삼둥이 등의 경우 각각의 아동별로 지원
  • 조제분유 : 기저귀 지원대상 중 아래의 사유에 해당하는 경우에 지원
    • 산모의 질병·사망으로 모유수유가 불가능한 경우
      • 에이즈, HTLV감염, 마약 및 정신이상약에 의한 중독, 악성신생물, 유방의 악성신생물, 방사선 치료, 항암제 치료 등
    • 아동복지시설·공동체생활가정·가정위탁 아동, 영아입양가정, 한부모 가정인 경우
    • 산모의 의식불명, 뇌출혈 등으로 인한 의식기능의 현저한 저하 등으로 모유수유가 불가능 하다고 의사가 판단하는 경우
  • [2025년 건강보험료 본인부담금에 의한 기준중위소득 80% 판정기준표]

    (단위:원)

    2025년 건강보험료 본인부담금에 의한 기준중위소득 80% 판정기준표를 가구원수, 소득기준(80%), 건강보험료 본인부담금[직장가입자, 지역가입자, 혼합]으로 나눈 표
    가구원수 소득기준(80%) 건강보험료 본인부담금
    직장가입자 지역가입자 혼합
    2인 3,147,000 112,371 37,001 113,324
    3인 4,021,000 143,298 75,675 144,905
    4인 4,879,000 174,082 113,431 176,291
    5인 5,687,000 201,632 134,274 204,525
    6인 6,452,000 229,454 167,069 232,948
    7인 7,191,000 256,716 202,363 261,360
    8인 7,930,000 282,728 235,277 288,617
    9인 8,669,000 311,031 269,976 320,322
    10인 9,408,000 342,861 305,333 354,964

    ※ 건강보험료 본인부담금 : 노인장기요양보험료 제외한 금액임

    [2025년 기준 중위소득 100% 건강보험료 기준표]

    2025년 기준 중위소득 100% 건강보험료 기준표를 가구원, 소득기준, 건강보험료 본인부담금[직장가입자, 지역가입자, 혼합]으로 나눈 표
    가구원 소득기준 건강보험료 본인부담금
    직장가입자 지역가입자 혼합
    2인 3,933,000 139,817 70,053 141,260
    3인 5,026,000 179,415 121,707 181,663
    4인 6,098,000 219,196 154,802 222,471
    5인 7,109,000 252,203 196,416 256,716
    6인 8,065,000 288,617 243,019 295,134

    ※ 건강보험료 본인부담금 : 노인장기요양보험료 미포함 금액임

    [2023년 기준 중위소득 120% 건강보험료 기준표]

    2023년 기준 중위소득 120% 건강보험료 기준표를 가구원, 소득기준, 건강보험료 본인부담금[직장가입자, 지역가입자, 혼합]으로 나눈 표
    가구원 소득기준 건강보험료 본인부담금
    직장가입자 지역가입자 혼합
    1‧2인 4,148,000 147,280 129,070 138,878
    3인 5,034,000 177,454 184,453 180,075
    4인 6,145,000 216,279 233,478 219,871
    5인 7,229,000 254,658 281,796 260,234
    6인 8,288,000 296,681 330,939 307,505
    7인 9,337,000 334,652 369,311 350,228
    8인 10,385,000 370,489 408,122 398,320
    9인 11,433,000 434,898 472,366 473,200
    10인 12,482,000 473,200 511,899 511,709

    ※ 건강보험료 본인부담금 : 노인장기요양보험료 미포함 금액임

    [2025년 기준 중위소득 130% 건강보험료 기준표]

    2025년 기준 중위소득 130% 건강보험료 기준표를 가구원, 소득기준, 건강보험료 본인부담금[직장가입자, 지역가입자, 혼합]으로 나눈 표
    가구원 소득기준 건강보험료 본인부담금
    직장가입자 지역가입자 혼합
    2인 5,113,000 181,663 124,483 184,014
    3인 6,533,000 232,951 171,506 236,603
    4인 7,928,000 282,731 235,278 288,623
    5인 9,241,000 330,759 292,300 342,866
    6인 10,485,000 386,692 357,966 407,097

    ※ 건강보험료 본인부담금 : 노인장기요양보험료 미포함 금액임

    [2023년 기준 중위소득 150% 건강보험료 기준표]

    2023년 기준 중위소득 150% 건강보험료 기준표를 가구원, 소득기준, 건강보험료 본인부담금[직장가입자, 지역가입자, 혼합]으로 나눈 표
    가구원 소득기준 건강보험료 본인부담금
    직장가입자 지역가입자 혼합
    2인 5,185,000 183,861 142,142 186,476
    3인 6,653,000 237,913 206,359 242,216
    4인 8,102,000 291,898 273,699 299,947
    5인 9,497,000 346,067 335,569 359,887
    6인 10,842,000 403,785 402,840 434,962

    ※ 건강보험료 본인부담금 : 노인장기요양보험료 미포함 금액임

    [2023년 기준 중위소득 180% 건강보험료 기준표]

    2023년 기준 중위소득 180% 건강보험료 기준표를 가구원, 소득기준, 건강보험료 본인부담금[직장가입자, 지역가입자, 혼합]으로 나눈 표
    가구원 소득기준 건강보험료 본인부담금
    직장가입자 지역가입자 혼합
    2인 6,222,000 222,624 187,378 226,361
    3인 7,983,000 284,769 264,991 291,898
    4인 9,722,000 346,067 335,569 359,887
    5인 11,396,000 434,962 436,179 476,875
    6인 13,011,000 476,875 481,248 521,613

    ※ 건강보험료 본인부담금 : 노인장기요양보험료 미포함 금액임

지원금액

  • 기저귀 : 월 90,000원
  • 기저귀+조제분유 : 월 200,000원
  • 조제분유 : 월 110,000원

    * 기저귀와 조제분유 모두 지원받는 경우, 총 바우처 지원금액 내에서 기저귀 또는 조제분유 물품 구분 없이 사용 가능

신청방법

  • 신청권자
    • 영아의 부모가 신청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되, 부모가 신청하기 곤란한 경우 주민등록등본상 세대를 같이하는 가족, 친족(8촌 이내의 혈족, 4촌 이내의 인척) 또는 후견인·법정대리인, 영아를 양육하는 자(사회복지시설장, 위탁모 등), 관계공무원
  • 신청장소
    • 영아의 주민등록 주소지 관할 시·군·구 보건소, 행정복지센터 또는 온라인 복지로 또는 정부24
    • 신청 시 영아의 주민등록번호 기 발급 필수
    • 최종 지원대상 판정 결과는 행정복지센터에서 신청하였더라도 관할 보건소에서 통지

신청기간

수시(영아 출생 후 만 2년이 되는 날의 전 날까지 신청)

제출서류

제출서류를 분류와 서류목록으로 나누어 제공한 표
분류 서류목록
기본 첨부 서류
  • 지원 신청서 1부
  •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 동의서 1부
  • 주민등록등본 1부
    ※ 행정정보 공동이용 사전동의서 제출 시 생략 가능
추가 첨부 서류
  • (기준중위소득 80% 이하 가구) 영아 부모의 소득 증빙자료, 가구원수 확인 자료
    • 영아 부모의 건강보험증 사본(맞벌이 부부일 경우 부부 모두 첨부)
    • 영아 부모의 소득증빙자료(건강보험료 납부확인진단서 등)
      ※ 행정정보 공동이용 사전동의서 제출 시 생략 가능
  • 휴직자 : 휴직증명서 1부(유급휴직자의 경우 급여명세서 1부 추가 제출)
    ※ 휴직여부 및 휴직기간 등을 확인할 수 있는 공문서로 대체 가능
  • 다자녀 가구 또는 주민등록등본상 가족관계입증 곤란 시 : 가족관계증명서 1부
  • 조제분유 신청 시 : 산모의 사망을 증명할 수 있는 가족관계증명서, 산모의 질병을 증명할 수 있는 의사진단서(소견서), 아동복지시설 등 아동임을 확인할 수 있는 증명서 1부
  • 부모 외 신청 시 : 영아와의 관계를 증빙할 수 있는 서류 1부(예 : 가정위탁보호확인서, 시설아동증빙서류, 후견인 증명서 등)
  • 보유 자격 관련 증명서 또는 확인서
    • 국민기초생활보장수급자 증명서 1부
    • 차상위 본인부담경감대상자 증명서 1부
    • 자활근로참여확인서 1부
    • 장애인연금, 장애수당, 장애아동수당 대상자 확인서 1부
    • 차상위계층 확인서 1부
    • 한부모가족 증명서 1부
    • 장애인 가구 확진을 위한 일반장애인등록증 1부

이용방법

국민행복카드를 발급 받아 정부지원금으로 결제 가능한 유통점에서 바우처로 구매가능한 기저귀 또는 조제분유를 자유롭게 구매

저소득층 기저귀·조제분유 지원사업 이용 안내문 다운로드

국민행복카드 이용방법을 국민행복카드사, 구매처[온라인(인터넷), 오프라인(마트)]으로 나눈 표
국민행복카드사 구매처
온라인(인터넷) 오프라인(마트)
BC카드 G마켓, 옥션, 우체국쇼핑몰,
페이북쇼핑, 우리WON마켓, 국민행복몰, 쿠팡
이마트, 이마트트레이더스,
GS25편의점, GS더프레시, 노브랜드,
홈플러스, 홈플러스익스프레스,
나들가게
삼성카드 삼성카드쇼핑몰, 국민행복몰 이마트, 이마트트레이더스, 노브랜드,
GS25편의점, GS더프레시, 홈플러스,
홈플러스익스프레스, 세븐일레븐
롯데카드 롯데카드띵샵, 엘포인트몰, 베팡몰 롯데마트, 롯데빅마켓, 홈플러스,
홈플러스익스프레스, GS25편의점,
GS더프레시, 세븐일레븐
국민카드 국민행복몰, KB Pay쇼핑, 쿠팡 GS25편의점, CU편의점
신한카드 국민행복몰, 올댓쇼핑 GS25편의점

지원 기간

  • 만 2세 미만 영아(0~24개월)에 대해 최대 24개월 동안 지원
  • 신청일에 따른 지원기간(영아의 원령이 24개월 미만으로, 해당 기간동안 지원 최대 2년)
지원 기간을 신청일, 총 지원금액 (천원)으로 나눈 표
신 청 일 총 지원금액 (천원)
출생일 ~ 출생일 기준 60일(출생일 포함)째 날 24개월
출생일 기준 61일째 날 ~ 출생일 기준 3개월 째 날의 전날 22개월
출생일 기준 3개월 째 날 ~ 출생일 기준 4개월 째 날의 전날 21개월
출생일 기준 4개월 째 날 ~ 출생일 기준 5개월 째 날의 전날 20개월
출생일 기준 5개월 째 날 ~ 출생일 기준 6개월 째 날의 전날 19개월
출생일 기준 6개월 째 날 ~ 출생일 기준 7개월 째 날의 전날 18개월
출생일 기준 7개월 째 날 ~ 출생일 기준 8개월 째 날의 전날 17개월
출생일 기준 8개월 째 날 ~ 출생일 기준 9개월 째 날의 전날 16개월
출생일 기준 9개월 째 날 ~ 출생일 기준 10개월 째 날의 전날 15개월
출생일 기준 10개월 째 날 ~ 출생일 기준 11개월 째 날의 전날 14개월
출생일 기준 11개월 째 날 ~ 출생일 기준 12개월 째 날의 전날 13개월
출생일 기준 12개월 째 날 ~ 출생일 기준 13개월 째 날의 전날 12개월
출생일 기준 13개월 째 날 ~ 출생일 기준 14개월 째 날의 전날 11개월
출생일 기준 14개월 째 날 ~ 출생일 기준 15개월 째 날의 전날 10개월
출생일 기준 15개월 째 날 ~ 출생일 기준 16개월 째 날의 전날 9개월
출생일 기준 16개월 째 날 ~ 출생일 기준 17개월 째 날의 전날 8개월
출생일 기준 17개월 째 날 ~ 출생일 기준 18개월 째 날의 전날 7개월
출생일 기준 18개월 째 날 ~ 출생일 기준 19개월 째 날의 전날 6개월
출생일 기준 19개월 째 날 ~ 출생일 기준 20개월 째 날의 전날 5개월
출생일 기준 20개월 째 날 ~ 출생일 기준 21개월 째 날의 전날 4개월
출생일 기준 21개월 째 날 ~ 출생일 기준 22개월 째 날의 전날 3개월
출생일 기준 22개월 째 날 ~ 출생일 기준 23개월 째 날의 전날 2개월
출생일 기준 23개월 째 날 ~ 출생일 기준 24개월 째 날의 전날 1개월

콘텐츠 내용에 만족하셨나요?

자료관리 담당자

담당부서
건강증진과
담당팀
모자보건팀
전화
032-770-5712
OPEN 공공누리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 이용조건 : 출처표시+상업용금지+변경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