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태극기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지방세개요

  1. 종합민원
  2. 지방세
  3. 지방세개요
  4. 구제제도
지방세 구제제도에는 세금이 고지되기 전에 구제받을 수 있는 제도로서 과세전 적부심사제도가 있고, 세금고지서가 나간 후에 구제받는 이의신청 및 심사청구제도(감사원심사청구 포함)와 행정소송 제도가 있습니다.

구제제도의 종류

과세전 적부심사제도

과세전 적부심사제도는 세금이 고지되기 전에 세무조사결과에 대한 서면통지와 과세예고통지 및 비과세 또는 감면의 신청을 반려하는 통지를 받고 이의가 있는 경우에 통지를 받은 날부터 30일 이내에 시·군·구세는 시장·군수·구청장에게 그 통지의 적법성 여부에 대한 심사를 청구할 수 있는제도로서, 권리가 침해되기 전에 구제 받을 수 있는 실질적인 권리보호제도라 할 수 있습니다.

이의신청제도

지방세 부과·징수처분에 이의가 있는 경우 그 처분이 있는 것을 안 날(처분의 통지를 받은 때에는 그 통지를 받은 날)부터 90일 이내에 당해 지방세를 부과고지한 시장·군수·구청장 또는 시·도지사에게 이의신청을 하여 침해된 권리를 구제 받을 수 있는 제도입니다.

심사청구 및 심판청구제도

  • 이의신청을 거친 후 심사청구 및 심판청구를 하고자 할 때에는 이의신청에 대한 결정의 통지를 받은 날부터 90일 이내에 시·도지사의 결정에 대하여는 조세심판원장에게, 시장·군수·구청장의 결정에 대하여는 시·도지사 또는 조세심판원장에게 각각 심사청구를 하여 침해된 권리를 구제 받을 수 있는 제도입니다.
  • 군·구세는 인천광역시장에게 심사청구하거나 조세심판원장에게 심판청구를 하며 시세는 조세심판원장에게 심판청구를 하여 침해된 권리를 구제 받을 수 있는 제도입니다.
  • 그리고 이의신청 대신 직접 심사청구 및 심판청구를 이용하여 지방세에 대한 권리를 구제받을 수도 있습니다.

감사원 심사청구제도

지방세 부과징수처분에 이의가 있는 경우 그 처분이 있은 것을 안 날(처분의 통지를 받은 때에는 그 통지를 받은날)부터 90일 이내에 당해 지방세를 부과·고지한 시장·군수·구청장을 경유하여 감사원장에게 심사청구를 하여 침해된 권리를 구제 받을 수 있는 제도 입니다.

행정소송제도

지방세 부과 징수처분에 이의가 있는 경우 그 처분이 있은 것을 안날(처분의 통지를 받은 때에는 그 통지를 받은 날)부터 90일 이내에 서울지역의 경우 행정법원, 서울이외 지방의 경우 지방법원에 행정소송을 제기하여 침해된 권리를 구제 받을 수 있는 제도 입니다.

처리절차(흐름도)

납세자(고지서수령)는 과세예고 등 통지서 수령후 30일 이내에 과세전적부 심사청구를 결정하여 청구(30일 이내 결정)할수 있습니다. 혹은 90일 이내 시·군·구 접수(시·도지사, 안전행정부 경유)에 접수하여 감사원심사청구(3개월이내 결정)를 하면 90일 이내에 행정소송(서울:행정법원,지방:지방법원)에 들어갑니다. 납세자는 90일 이내에 이의신청(이후 90일이내 행정소송), 심사청구, 심판청구(과세전적부심사를 거친 경우 이의신청 생략가능-이후 90일 이내 행정소송), 행정소송(서울:행정법원/지방:지방법원-90일 이내 본인 희망시 이의신청, 심사청구 생략가능)이 가능합니다. 이의신청/심사청구,심판청구/행정소송은 90일 이내

콘텐츠 내용에 만족하셨나요?

자료관리 담당자

담당부서
세무과
담당팀
세정팀
전화
032-770-6272
OPEN 공공누리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 이용조건 : 출처표시+상업용금지+변경금지